[일반] 반도체 산업 육성과 전문 인력 양성을 동시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서영주)은 8월 23일
오전 12시 서울시 양재동 El 타워에서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시스템반도체포럼, 서울대·포항공대·서강대·충북대·숭실대 등 5개 대학 산학협력단과
시스템 반도체 기술개발 및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은 차세대 IT 기술의 원천인 융복합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국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MOU 주요 내용으로 학계는 인력양성과 팹리스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산업계는 양성된 양질의 인력이 훌륭히 성장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는
방안을 담고 있어 향후 팹리스* 중심의 산학협력모델로 정착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IT는 5개 대학 산학협력단에 올해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매년 20억원씩 총 60억원의 정부 지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전국 18개 대학의 교수를 포함한 연구원 153명과
국내 팹리스 22개 업체가 참여하여 공동 기술개발과 기업에서 필요한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KEIT 서영주 원장은 “이번 MOU 체결로 3년 동안
연간 20개 이상의 반도체 설계자산(IP,Intellectual Property)**이 개발되고 석박사 고급인력도 40명 이상씩 배출되어
팹리스로 공급됨으로써 반도체 고급설계인력의 공급부족난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동남아시아의 고급인재를 모집해 교육훈련
과정을 통해 국내 팹리스에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팹리스(Fabless)
반도체 제조공정 가운데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를 말한다. 종합반도체업체와 달리 반도체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다.
** 반도체
설계자산(IP,Intellectual Property)
반도체 디바이스 내에 구현되기 위해 미리 정의된 기능 블록이다.
첨 부 : 1. 인력양성 MOU 체결식
첨 부 : 2. 융복합 혁신 반도체 기술 개발, 인력양성에 관한 양해각서
첨 부 : 3. MOU 체결사진 2매
사진
설명1)
범진욱 서강대 교수(사진 왼쪽부터), 이혁재 서울대 교수, 이종희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상무, 김상태 KEIT 단장, 허염 시스템반도체포럼
대표, 이성수 숭실대 교수, 조경록 충북대 교수, 심재윤 포항공대 교수가 8월 23일 오전 12시 서울 양재동 El타워에서 ‘융복합 혁신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KEIT)
사진
설명2)
범진욱 서강대 교수(사진 왼쪽부터), 이혁재 서울대 교수, 이종희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상무, 김상태 KEIT 단장, 허염 시스템반도체포럼
대표, 이성수 숭실대 교수, 조경록 충북대 교수, 심재윤 포항공대 교수가 8월 23일 오전 12시 서울 양재동 El타워에서 ‘융복합 혁신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제공=KEIT)
작성자 정석표
작성일 201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