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2025년 우리의 미래사회 모습은?
#1. 직장인 이주석(40)씨는
스마트카를 타고 강변북로를 달리던 중 성수대교 근처를 지날 때 차량 내비게이션을 통해 ‘위험’ 신호를 통보받았다. 내비게이션 화면에는 경고
창과 함께 “전방 5km 지점 장애물 발생으로 서행하라”는 안내 문구가 나왔다. 무인 주행이 가능한 스마트카에는 ‘시속 1000km 이상의
이동속도에서도 끊김없는 통신이 가능한 초고주파기반 이동통신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어 주행길 위험요소를 감지할 수 있었다.
#2. 주부 우현경(38)씨는
이른 아침 주방에서 식사를 준비하며 냉장고의 LCD 화면을 통해 다양한 식재료를 주문한다. 몇 번의 터치를 통해 필요한 식재료 주문을 마친
우 씨는 생체리듬을 고려하여 옷을 추천해 주는 ‘마이클로젯’을 이용해 남편의 출근복을 고른다. 오후에는 가사도우미 로봇에게 청소를 지시하고
외출준비에 나선다.
이것은 현재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주거환경이나 생활기기들을 토대로 그려본 2025년 미래에 우리 생활상이다. 현재 상황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지만 미래의
가정에서는 평범한 삶의 모습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원장
서영주)은 이같은 미래사회 전망을 통해 향후 10년간 정보통신분야에서 개발되어야 할 20대 미래 유망기술을 선정하여 보고서로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는 우리가 살아갈
미래사회의 모습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등장인물 별로 상황을 설정하여 차세대 신기술 및 제품/서비스가 가정, 직장, 학교 등의 생활공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만화 시나리오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KEIT는 보고서 발간을
위해 정보통신 분야 100대 미래기술을 발굴하였고, 이중 기술적, 시장적, 국가 전략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20개의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였다.
특히 선정된 20대 미래유망기술로는
△차세대 나트륨 이온전지 기술 △충전이 필요 없는 휴대기기 기술 △대화형 개인비서 기술 △접을 수 있는 초고해상도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기술
△의료 진단용 고화질 3차원 홀로그램 기술 △분단위 예측 기상정보 분석 처리기술 등 IT와 타산업간의 융합기술이 많았다.
이 보고서는 발간에 앞서
KEIT 18개 산업기술 분야 PD(Program Director)를 비롯해 과학기술자, 미래예측전문가, 시나리오작가, 만화가 등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분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반영하였다.
KEIT는 국내외 과학기술
예측조사 사례분석을 통해 총 700개의 미래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했고 이 중에서 기술의 파급력, 실현성 및 혁신성 등의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100개의 미래핵심 기술을 선정하였다.
KEIT 정보통신기술본부
이명기 본부장은 “IT 기술예측조사 연구 결과는 R&D전략 및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분야 미래 창의 연구를 위해 산업융합원천
기술개발사업의 신규과제 발굴에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KEIT 홈페이지(www.keit.re.kr) ‘KEIT 발간물’ 코너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참고 1] 20대 IT
미래유망기술
[참고 2] IT 미래시나리오
[참고 3] 100대 미래기술리스트
[첨 부] IT유망기술 및 미래시나리오 포스터
작성자 이현숙
작성일 201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