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KEIT, 한-미 시스템반도체 연구협력센터 개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이기섭)은 8월 2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통신정보기술연구소(Calit2*)에 ‘한-미 시스템반도체(KUSIC, Korea-USA
System IC)’ 연구협력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
캘리포니아 통신정보기술연구소(Calit2)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2000년에 설립한 과학기술혁신 연구소로 나노기술(센서개발), 생명과학(바이오-마이크로-전자, 기계, 시스템), 정보통신기술(데이터
시각화 지원 기술/무선통신 기술) 등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KEIT는 KUSIC 연구센터를
통해 Calit2와 휴대폰, DTV, 자동차 등 시스템반도체 분야 공동연구, 사업화, 인재양성 등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 주요대학과 공동연구를
위한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기섭 KEIT 원장은
“양국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대표적 연구기관인 전자부품연구원(원장 김경원)과 Calit2(연구소장 : Ramesh Rao)가 함께 구축한
네트워크가 심화·확대되어 중소기업을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개발과 공동사업화의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EIT는 이날 Calit2에서 ‘한미 ICT 융합 컨퍼런스’를 주최하여 전자부품연구원-UCSD(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간
에너지 절감, 로봇, 미디어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거행했다. MOU 체결식에 이어 열린 시스템반도체 국제컨퍼런스
행사에서는 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해밀턴 스미스(Hamilton Smith) 박사가 바이오 기술에 대해 강연을 하며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오후에 진행된 기술컨퍼런스
행사에서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Calit2의 피터 애스백(Peter Asbeck) 교수와 응우웬 쯔엉(Nguyen Truong) 교수,
UCSD Gert Lanckriet 교수가 각각 에너지 절감, 로봇, 미디어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였다.
한편 KEIT는 현재 진행중인
'시스템반도체 R&D 국제협력사업*'프로젝트에 대해 미국 전자기업 패킷 디지털(Packet Digital)사의 조엘 요겐슨(Joel
Jorgenson) CEO 등 6명의 해외 전문가로 구성된 공개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차년도 사업성과 제고에 반영할 계획이다.
첨 부 : 1. KUSIC Research Center 개요
첨 부 : 2. 시스템반도체 국제컨퍼런스 개요
첨 부 : 3. 행사사진 2매
사진설명
: 28일(미국 현지시간) ‘한-미 시스템반도체 연구협력센터’ 개소식에서 김재석 시스템IC2015사업단장(왼쪽), 양준철 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김경원 전자부품연구원장, 이기섭 KEIT 원장, 프리더 사이블(Frieder Seible) UCSD 공과대학장이 테이프 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 = KEIT)
사진설명
: 28일(미국 현지시간) ‘한-미 시스템반도체 연구협력센터’ 개소식에서 김재석 시스템IC2015사업단장(왼쪽), 양준철 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이기섭 KEIT 원장, 김경원 전자부품연구원장, 응우웬 쯔엉(Nguyen Truong) Calit2 교수, 폴 유(Paul Yu)
UCSD 부총장, 프리더 사이블(Frieder Seible) UCSD 공과대학장, 라메쉬 라오(Ramesh Rao) Calit2 연구소장,
노벨상 수상자 해밀턴 스미스(Hamilton Smith) 박사가 연구협력센터 현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KEIT)
작성자 조용곤
작성일 201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