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中企 , R&D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금 확대 원해
국내 기업을 비롯하여 대학, 연구소 등에서 종사하는 연구개발자들은 기업R&D 활성화를 위한 정부 R&D 지원정책으로는 현행의 직접적인 연구개발 자금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급 R&D 인력확보를 위한 정책으로 중소기업은 정부 R&D사업을 통한 인건비 지원을, 대기업은 연구개발 인력과 관련한 세제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중소기업 83%는 정부 연구개발자금을 지원받으면, 신규 연구인력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어, 정부 연구개발지원 사업이 고급 연구 인력 고용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조사되었다.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원장 서영주)이 정부 R&D사업 참가자 7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식경제 R&D사업 지원정책’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8%가 기업 R&D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지원정책으로 ‘정부 R&D 지원금 확대’를 꼽았다. 다음으로 ‘공동연구지원(23%),’ ‘R&D제도개선(14%)’, ‘인력지원확대(9%)’, ‘세제지원확대(6%)’의 순으로 R&D 지원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답변했다.R&D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부 R&D의 지원 영역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들은 ‘실용화를 전제로 한 시제품 개발(34%)’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실용성 확보를 위한 응용기술 개발(29%)’, ‘실용화 가능성 확인을 위한 핵심원천기술연구에 대한 지원(26%)’이 뒤를 이었다. 이 질문에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다른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중소기업들이 ‘상용화를 전제로 한 시제품 개발’을 선호한 반면 대기업과 대학, 연구소는 ‘핵심원천기술연구에 대한 자금지원’을 최우선 영역으로 여겼다.또 응답자들은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해 ‘대·중소기업 공동연구를 위한 연구개발 자금지원(27%)’을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꼽았고 다음으로 ‘대기업 구매조건부 개발을 위한 R&D 지원사업 확대(23%)’, ‘기업간 상생협력 유도를 위한 인프라 구축(19%) 순으로 집계됐다.연구인력 고용과 관련하여 R&D 사업비 지원시 채용계획을 밝힌 기업은 중소기업이 83%, 대기업은 45%, 대학과 연구소는 각각 21%라고 답하여 중소기업의 채용계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기관)당 평균 2.6명의 R&D 인력채용 계획이 있었고, 기업의 매출규모가 클수록 R&D 채용 인력이 많았다.한편 고급 R&D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정부 R&D 지원사업에서 신규인력 채용을 위한 인건비 지원(46%)’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정부의 R&D 자금지원을 받았을 때 신규 R&D인력 채용여부에 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9%인 531개 기업(기관)이 1,389명(석사이하 1,022명, 박사급 338명)의 채용계획을 밝혔다.이번 조사는 KEIT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사업설명회 참가자 및 R&D사업 수행자 768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27일~29일 3일간 1차 오프라인과 5월 12일~16일 5일간 온라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됐다.총 768명 응답자의 73%(563명)가 중소기업이었으며 이 중에서 매출액 1,000억 미만의 기업이 520개로 가장 많았다. 전체 응답에서 나머지 27%(205명)는 대기업, 연구소, 대학 등의 연구개발 담당자가 설문에 참여했다.이번 설문조사를 수행한 KEIT 우창화 본부장은 “High Risk 분야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정부출연금 지원의 취지를 고려할 때 중소기업의 R&D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대기업, 연구소, 대학 등과의 공동연구를 장려하여 관련 사업에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붙 임 : 지식경제 R&D사업 추진관련 설문조사 결과
작성자 정석표
작성일 201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