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핵심·원천기술개발로 2015년까지 15대 전략기술 분야 Global Top 5 진입
= 전략기술개발사업 시범사업 최종 지원과제 4개 확정 =
· (디스플레이) OLED 유기재료 핵심원천 기술개발
· (차세대로봇) 지능형로봇 개발을 위한 공통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 (나노기반) 티타니아 나노분말소재 양산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 (생산시스템) 대면적 미세가공 시스템 기술개발
= 15대 전략기술 분야 ’08년 신규 연구기획과제 80개 확정 =
·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가 큰 주력산업·미래유망·기반기술 분야 핵심원천기술개발,
· 한-미FTA 대응과제, 융·복합기술개발과제 등 선정
□
산업자원부는 그동안 선진국을 모방·추격했던 전략에서 벗어나, ‘창조·선도전략’으로 기술개발 전략을 전환한「전략기술개발사업」을 ’08년부터 본격 추진함
○
전략기술개발사업은 15대 전략기술 분야 핵심·원천기술개발을 통해 2015년까지 대부분의 산업에서 Global Top 5에 진입하는 것을 비전으로 함
15대
전략기술
분야
① 주력산업(7)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조선, 섬유의류, 생산시스템, 화학공정소재,
금속재료
② 미래유망(4) : 바이오, 차세대로봇, 디지털컨버젼스, 차세대의료기기
③ 기반기술(4) : 나노기반, 생산기반, 청정기반, 지식서비스기반
* 전략기술개발사업 주요 내용 : 참고①
□
산업자원부는 11월 23일 (금) 오영호 제1차관 주재로 기술전략위원회를 개최하여 ‘전략기술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 ‘전략기술개발 시범사업 결과’와 ‘2008년 15대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기획 추진계획’에 대해 심의·확정하였음
※ 제1회「기술전략위원회」개요
○ 일시 및 장소 : ’07.11.23(금 )16:00~17:30 / 산자부 다산실(623호)
○ 참석 : 제1차관(위원장), 기술전략위원회 위원*(24명)
· (당연직) 산업기술정책관, 산업정책관, 기간제조산업본부장, 미래생활산업본부장, 재정기획관,
특허청 정보기획본부장, 기술표준원 기술정책부장, 산업기술재단 이사장, 산업기술평가원장
· (선임직) 15대 전략기술 분야별 기술위원회 민간위원장
전략기술개발 시범사업 결과
□
산자부는 ’08년 전략기술개발사업의 본격 추진에 앞서 연초 시범사업 4개분야*를 선정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하였음
* 디스플레이·차세대로봇·나노기반·생산시스템
○
시범사업 4개 분야별 2개 과제씩 연구기획을 하였으며, 최근 기술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 지원과제 1개씩을 선정하였음
* 공청회 개최(9.14), 기술위원회 중간보고(9월) 등을 거쳐 폭넓게 의견을 수렴
<시범사업 최종 지원과제>
전략기술
주제발표
디스플레이
OLED 유기재료 핵심원천 기술개발
차세대 로봇
지능형로봇 개발을 위한 공통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나노기반
티타니아 나노분말소재 양산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생산시스템
대면적 미세 가공시스템 기술개발
* 시범사업 최종 지원과제별 세부 자료 : 참고②
□
현재 시범사업 4개과제에 대해서는 11.9~30일간 신규 사업자 선정을 위해 산업기술평가원에서 사업계획서를 접수받고 있으며, 12월중 사업자 선정 평가위원회를 거쳐 신규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임
○
금번 평가시에는 ①세부과제별로 사업자가 개별 접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②기반기술의 과제는 특성에 맞게 기술료 비징수 과제로 추진하는 한편, ③내실있는 평가를 위해 1박 2일간 합숙평가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평가기법도 도입할 계획임
2008년 15대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기획 추진계획
□
또한 15대 전략기술 분야별 기술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08년 연구기획과제 80개를 확정하였음
○
전략기술개발사업의 ’08년 예산은 4,352억원(정부안)으로 편성되어 현재 예결위 심의중임
□
Top-down(로드맵)과 Bottom-up(수요조사) 방식을 병행하여 전략적으로 연구기획 후보과제를 발굴하였으며,
* 연구기획 후보과제 발굴 절차
· 기술 수요조사(9.18~10.5) → 기술로드맵 및 선진국 기술개발 동향 파악(9.18~10.5) → 사전 검토위원회 및 ITEP 중복성 검증(10.8~10.22)
○
15개 분야별로 기술위원회를 개최(10.23~11.7)하여 총 80개의 연구기획 과제를 선정하였음
* ’08년 15개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기획 과제 현황 : 참고③
□
전략기술개발사업 취지에 맞는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가 큰 ‘핵심원천기술개발과제’가 다수 발굴된 것으로 평가됨
○
(주력산업) 기존 주력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원천기술을 개발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개발(자동차), 태양광반도체 장비개발(반도체), 대면적 AM-OLED 소재·공정·장비 개발(디스플레이) 등
○
(미래유망)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파급효과와 리스크가 큰 원천기술개발을 통해 조기산업화의 기반 조성
* AI기반 U-Health System 개발(차세대의료기기), 단백질신약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바이오), 인간-로봇 협업 매니퓰레이션 기술 개발(차세대로봇) 등
○
(기반기술)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원천기술 개발
* 디지털기반 실시간 적응생산체계 지원 플랫폼 개발(지식기반서비스), 플렉서블 투명전도성 CNT-polymer 박막기술 개발(나노기반) 등
□
또한, 한-미 FTA 타결에 따른 품목별 영향분석을 기초로 선제적 R&D 지원 과제도 발굴하였음
<한-미 FTA 관련 연구기획 과제 현황>
분 야
과 제 명
자동차·조선
유람스포츠형 요트와 모터보트 부품류 및 핵심요소기술개발
화 학
공 정
소 재
정보전자용 광응답 소재의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광전부품용 고기능성 투명고분자기판소재 및 공정 기술개발
LCD 기능제어용 고성능 실리콘 소재 개발
자동차에 사용되는 미래형 첨단 친환경 정밀화학소재 개발
차세대
의 료
기 기
박동형 가정 투석기 및 인공간 개발
차세대 실시간 초음파 3차원(4D) 영상을 위한 2차원 스마트 변환기 개발
고속 영상 검출용 DR을 위한 평판 검출기
환경적응 기능을 갖는 무선제어기반 보청기
유니버셜 디자인에 의한 재활보조장치
임플란트를 위한 치과시스템
※
생산시스템 분야 한-미FTA 관련 연구기획 과제는 12월초에 추가선정 예정
※
한-미 FTA 협상 타결 직후 협회, 전문기관 등을 통한 수요조사를 통해 도출된 신규지원과제 중 3년 이내의 단기R&D과제는 산업고도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원 계획
□
과제별로 10명 내외의 산학연 전문가로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내년 5월까지 상세 연구기획을 추진할 계획이며,
○
2회 이상의 공청회 및 기술위원회 중간보고 등을 통해 폭넓게 의견수렴을 할 계획이며, 전략기술개발사업 홈페이지(www.st-tech.or.kr)를 통해 일반인들의 의견도 함께 수렴할 예정임
□
연구기획 종료후에는 기술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 지원과제를 확정 및 사업자 선정을 추진할 계획임
첨부파일
【참고 】전략기술개발사업 주요 내용
작성자 이현숙
작성일 200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