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지식경제부, R&D PD(Program Director) 채용 실시
□
정부R&D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민간의 최고전문가가 R&D과제를 상시책임관리하는 PD(Program Director)제도가 본격 도입된다.
○
지식경제부는 로봇, 태양광에너지 등 13개 기술분야에 대한 PD 채용 신청을 오늘부터 내년 1월 23일까지 접수한다고 밝혔다.
□
PD(Program Director)제도란, 신규과제 기획, 중간·결과 평가·관리, 성과관리·확산 등 R&D 全과정을 기술분야별 전문가가 책임지고 상시전담하는 제도로서,
○
NSF, DARPA, 독일과학재단 등 유수 해외기관에서 R&D운영의 책임성·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선진R&D관리기법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舊정통부, 舊산자부 등에서 PM(Project Manager), 전문위원 등 민간전문가가 정부 R&D관리를 수행하는 유사제도를 운영 → 일부 PM/전문위원이 편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등 기존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PD제도를 새로이 기획·도입하게 됨
□
이번에 채용하는 기술분야는 PD제도 도입을 통해 가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13개 기술분야로서,
○
현정부가 미래국가전략으로 중점추진하고 있는 녹색기술, 신성장동력 다수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①
정부의 강력하고 신속한 R&D 드라이브가 요구되는 고성장 신기술 분야
- S/W, 정보보호, IT융합기술, 로봇, u-컴퓨팅
②
기술·시장의 변화 속도가 빠르고 표준과의 연계가 필요한 분야
- 홈네트워크/정보가전, DTV/방송, 차세대이동통신, BcN, RFID/USN
③
그린에너지 확보를 위해 중점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에너지/자원 분야
- 태양광에너지, 풍력, 연료전지
*
자동차, 바이오 등 PD도입분야 이외는 기존의 기술위원회 체계를 계속 유지
□
PD는 전문지식, 관리능력, 도덕성 등을 평가하여 전담관리기관의 상근 계약직 또는 파견직으로 채용하고(임기 2년, 연임 가능),
○
대기업 임원 수준(1억원 내외에서 경력/능력에 따라 차등 지급)의 연봉 및 성과급을 지급(추후 협의)하며,
○
실무 수행을 위해 석박사급 인력으로 구성된 PD지원팀의 지원과 지경부 기술표준원과 전담관리기관에 사무실을 제공받게 된다.
지식경제 PD제도 운영체계
□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이번 PD제도 도입을 통해 국가전략목표에 따른 미래선도기술을 기획하고 이를 상시점검하며 개발후 상용화단계까지 책임관리함으로써 정부 R&D 사업의 투자 효율성과 사업화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PD 채용 일정은 내년 1월말에 신청을 마감한 후, 서류전형(3배수), 면접전형을 거쳐 내년 2월에 최종 확정할 예정이며,
○
서류신청 양식 다운로드 등 상세사항은 기술분야별 전담관리기관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다.
분야별 전담관리기관
구분
기술분야
담당부서
전담관리기관(홈페이지)
산업기술
IT융합
정보통신총괄과
한국산업기술평가원
(www.itep.re.kr)
RFID/USN
정보통신활용과
로봇
로봇팀
정보통신기술
홈네트워크/정보가전
정보전자산업과
정보통신연구진흥원
(www.iita.re.kr)
디지털TV/방송
정보통신산업과
차세대이동통신
정보통신산업과
BcN
정보통신산업과
S/W
소프트웨어진흥과
정보보호
정보전자산업과
u-컴퓨팅
정보통신산업과
에너지/자원기술
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과
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
(www.ketep.re.kr)
태양광에너지
신재생에너지과
풍력
신재생에너지과
*
기술별 PD 채용과 더불어, 기술개발과 표준화와의 연계를 위해 지경부 기술표준원 과장급을 표준PD로, 기술분야별 PD의 행정지원을 위해 기획운영PD를 전담관리기관의 본부장급으로 선정
작성자 이현숙
작성일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