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금속소재 원천기술 심포지엄 개최
지난 10월 22일 대구 컨벤션센터에서 ‘금속소재 원천기술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금속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단이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KEIT) 후원으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금속 분야 R&D 과제 책임자를 비롯해 소재기업협의회 회원, 산ㆍ학ㆍ연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은 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추진 중인 금속 관련 10개 R&D 과제에 대한 발표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정부 R&D사업과 금속소재분야 원천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한편 토론을 통해 사업의 내실화를 도모했다. 특히 산·학·연 전문가들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소재분야 연구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은 소재산업의 선진화를 이루고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R&D 사업으로, 장기간의 연구와 막대한 투자비가 요구되는 소재개발의 특성을 반영해 최장 10년간, 3단계로 추진되고 있다.
금속분야로 지원된 10개 R&D 과제는 Green 자동차, 기계부품,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건축 내외장재에 응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나노박막 복합 구조화 기술’, 고성능 소형모터, 엔진용부품, 콤프레샤 부품 등에 응용 가능한 ‘극미세 자성입자 기능복합화 기술’ 등이다. KEIT는 10개 R&D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향후 10년간 약 265조원에 이르는 미래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속분야 지원과제 목록
연도
과제명
개발내용
응용분야
경제적효과
세계시장
(국내시장)
2009년
(3건)
조성/구조 제어에 의한
고기능 다공성 금속 소재
기술
신조성 설계 및 기공구조의 선택적 제어를 통한 고효율/장수명 다공성 금속소재 개발
미래형 자동차, 온실가스 대응산업, 분산전원발전, 초청정선박
2013년 19.3조원
(2.7조원)
다기능성 나노박막 복합
구조화 기술
금속/질화물 나노복합화, 나노표면형상제어, 완전화 박막합성 기술을 통한 차세대 나노박막복합구조화 기술 개발
Green 자동차, 기계부품, 디스플레이, 휴대폰, 건축 내외장재
2019년 11.4조원
(1.8조)
상변태/임계에너지 제어
접합금속소재 설계 기술
상변태/임계변형에너지 제어를 통한 고기능 ECO 접합금속소재 개발
자동차산업, 고부가가치 선박, 해양플랜트, 파이프라인, 극한환경장비
2019년 6.5조원
(2.3조원)
2008년
(3건)
고융점/백금족 희유금속의
초고순도화 기술
희유금속 고순도 정련 및 정제, 불순물 임계제어 가공, 공정순환율 향상
자동차산업, IT산업, 에너지-환경산업, 석유화학산업 등
2012년 12조원
극미세 자성입자 기능복합화
기술
합금설계와 극미세 입자 복합기능화를 통한 고성능/고효율 자성분말소재 개발
고성능 소형모터, 엔진용부품, 콤프레샤 부품 등
2018년 4조원
상/조직 복합제어
고비강도화 기술
고강도 고성형성 임계성능 향상과 저비용화, 스크랩 재활용, 고강도 자유단면재 제조, 용탕 직접압연
미래형 자동차, 자기부상열차, 고속전철, 선박, 로봇 body 등
2012년 2조원
2007년
(4건)
고강도 고성형성 마그네슘
합금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상 제어를 통한 고강도 고성형성 마그네슘합금 설계기술, 제조 공정기술
자동차, 고속전철, 레저용 선박, 로봇 등
2015년 3조원
(1조원)
복합상/나노입자 제어형
GIGA급 고강도화 기술
철강 ECO 강도 지수(강도x연신율) 극대화를 위한 복합상제어 및 합금설계
미래형 자동차, 인공지능형 로봇, 선박 등
2015년 32조원
(1조원)
Quasi-State 제어형
다기능화 기술
전기전도도 80% IACS, 인장강도 800MPa급 동시구현을 위한 고전도-고강도 동합금소재
휴대폰, PDA, 디지털가전 등
2015년 75조원
초임계 박막 제어 기술 개발
PVD, CVD 등 다양한 박막제조공정 기술을 활용한 초임계 박막제어기술 개발
차세대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정보저장매체 등
2017년 100조원
작성자 이수갑
작성일 200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