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지역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 분야 협력방안 모색
“지역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 분야 협력방안 모색”- KEIT, 7.14(목) 제20차 균형발전 정보협력 포럼 광주에서 개최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균형위, 위원장 김사열)와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 전라북도(도지사 김관영)가 마련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정양호) 등 17개* 기관이 공동으로 주관한 ‘2022년 균형발전 정보협력 포럼’이 7월 14일(목)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됐다.* 17개 공동주관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조선대학교(LINC3.0사업단), 광주전남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정보원, 한국콘텐츠진흥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광주디자인진흥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문화재단, 전남대학교(LINC3.0사업단), 호남대학교(LINC3.0사업단), 광주대학교(LINC3.0사업단),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 광주광역시 동구청이번 포럼에서는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 분야 인재양성, 기업육성, 콘텐츠 및 상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과 정보협력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유튜브 온라인 실시간 방송으로 전국에 중계됐다.기조강연으로 ▲서울예술대학교 이남식 총장의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 ▲김포대학교 한광식 교수의 ‘지역문화자원 기반 로컬 크리에이터(Local Creator) 양성’, ▲조선대학교 이승권 교수의 ‘문화전당과 문화중심 도시를 위한 플랫폼과 네트워킹’이 순서대로 진행됐다.이후 문화산업 현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 사례발표, 문화산업 지원기관의 사업소개가 진행됐으며, 국가균형발전종합정보시스템(NABIS)의 지원 역할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또한, 전문가와 참가자가 함께 하는 ‘오픈 토크 콘서트(Open Talk Concert)’를 통해 정책제안 토론과 더불어 인재양성, 기업육성, 콘텐츠 개발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특히 오늘 포럼에서는 공동주관기관들의 주요 사업과 플랫폼을 참가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플랫폼 키오스크 전시’가 눈길을 끌었다. 참가자들은 별도 공간에 마련된 키오스`크를 통해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문화예술지식정보시스템 등 기관별 주요 사업이 담긴 플랫폼을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가자들의 발길은 문화콘텐츠 현장으로 이어졌다. 사전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광주 원도심 문화콘텐츠 현장 투어’는 광주 원도심에 위치한 문화콘텐츠 현장을 찾아 이를 벤치마킹하고 지역발전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한다는 점에서 포럼의 의미를 높였다.한편, 20회째를 맞은 균형발전 정보협력 포럼은 지난 2019년부터 지역을 순회하며 개최되고 있다.<주요 발표내용>구분발표내용 및 발표자기조발표△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 (서울예술대학교 이남식 총장)△ 지역문화자원 기반 Local Creator 양성 (김포대학교 한광식 교수)△ 문화전당과 문화중심도시를 위한 플랫폼과 네트워킹 (조선대학교 이승권 교수)기업사례발표△ 문화콘텐츠 AR·VR (주렁주렁스튜디오 주수현 대표)△ 국내 최초 시민주도형 지역캐릭터 “먹방이와 친구들” (군산 로컬아이 박형철 이사장)△ 뉴미디어기반 로컬문화콘텐츠 (로컬업 김진희 대표)△ 복합문화콘텐츠 창업 이야기 (복합문화공간 39-17 마중 남우진 대표)문화산업지원기관사업/플랫폼발표△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플랫폼)△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역콘텐츠진흥을 위한 지원사업)△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새롭게 출범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의 지원사업)△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플랫폼)△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 (광주전남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지원사업과 플랫폼)오픈 토크콘서트△ 진행 : KTV 최유선 아나운서ㅇ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노영순 문화예술정책연구실장ㅇ 문화다움 추미경 대표ㅇ 지역문화관광네트워크 김효정 대표ㅇ 도시콘텐츠연구소 정성구 대표ㅇ 광주문화재단 김지원 본부장ㅇ 광주전남발전연구원 문창현 연구위원ㅇ 조선대학교 LINC3.0사업단 김춘성 단장ㅇ 지역문화연구소 송은미 소장ㅇ 시사N라이프 윤준식 대표
작성자 정민경
작성일 2022-07-14